전체 글 673

인권누리 웹진 제61호 인권누리에서 불어오는 인권바람이야기

인권누리에서 불어오는 인권바람이야기 전북공무원 인권정책과 인권의식에 관한 설문조사 결과(23) 3. 공무원의 인권제도 인식 및 의식 부족 전라북도 공무원 인권 실태 조사 설문 내용에서 나타난 문제점은 다음과 같다. 인권제도의 문제점과 인권인식에 관한 문제점으로 크게 두 가지 형태로 나눌 수 있습니다. 1) 공무원의 인권제도 인식 부족 첫째, 인권행정 및 인권제도에 관한 인식을 살펴보면 전라북도 인권제도 중에서 인권기본계획 54.1%, 인권조례는 50.5%, 인권담당관 제도 46.7%, 인권위원회 존재 43% 순으로 모르는 것으로 나타났습니다. 각 질문에 대해 전혀모른다와 별로 모른다고 응답한 비율을 합산한 결과입니다. 인권행정을 추진하는 공무원 스스로가 전라북도의 인권제도를 43% 이상 모른다는 것이 가..

인권누리 웹진 제60호 회원의 붓

정관성 회원이 보내온글 민주주의? 아직도 잘 모르겠습니다. 민주주의(democracy)는 그리스어로 민중(d-emos)과 지배(cratos)라는 말이 만나 ‘민중의 지배(d-emocratia)’란 뜻으로 사용된 것이라고 합니다. 민중이 지배하는 정치형태를 민주주의라고 하는데, 왜 민중민주주의, 엘리트민주주의, 자유민주주의, 시민민주주의, 사회민주주의 등 민주주의 앞에 붙는 말들이 많을까요? 각각의 뜻이나 지향하는 게 뭔지 잘 모르겠고, 그 차이를 정확히 구분하여 쓰는 사람도 많지 않을 거라고 봅니다. 민주주의 하나만으로도 굉장히 많은 뜻을 포함하고 있는데, 앞에 사족처럼 붙이는 것은 본래의 뜻을 훼손하는 건지도 모르겠고요. 제게 처음 다가온 민주주의는 뭐였을까요? 1979년 10월 26일 박정희 전 대통..

인권누리 웹진 제60호 전북의 인권 역사 문화 유적지

전북의 인권 역사 문화 유적지(62) 이번호의 인권역사문화유적지는 전주 관성묘(關聖廟)입니다. 위치는 전북 전주시 완산구 남고산성1길 159-9 번지에 있습니다. 삼국지에 나오는 관우는 신의의 상징으로 중국에서는 왕으로 추증되어 신성시하고 있습니다. 중국에서는 명나라 초부터 관성 혹은 관왕묘를 건립하여 일반 서민에까지도 그 신앙이 전파되었습니다. 우리나라에서는 임진·정유의 왜란 때에 명나라 군사들에 의해 관왕묘가 건립되었습니다. 1598년(선조 31) 처음으로 서울 숭례문 밖에 남관왕묘가 건립되었습니다. 『증보문헌비고』 권61 예고(禮考)에 따르면, 임진·정유의 난에 전투가 있을 때 자주 관왕의 영혼이 나타나 신병(神兵)이 명나라 군사를 도왔다고 했는데, 이것을 보면 명나라의 장수들이 관왕묘를 건립하는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