전체 글 670

인권누리 웹진 제160호 회원의 붓

녹두 전봉준 선생 앞에서 - 윤석열 탄핵으로 가는 길백승종(역사학자. 전 서강대 교수)6년 전의 일이다.서울 종로 전옥서 터에 녹두 전봉준 선생의 동상이 건립되었다(2018년4월24일). 그 자리에서 선생이 순국한 지 123년 만이다.나는 그를 장군이라 부르지 않는다.본래 그는 농민의 아이를 가르친 ‘서당 훈장님’이었다. 학에 들어가서는 ‘접’이라 불리는 신앙단체의 스승이 되었다.사후에는 우리 모두의 스승이 되었으니, 녹두는 선생이다.1894년 1월10일, 동학접주 전봉준은 1000여명의 농민들과 함께 고부 관아로 쳐들어갔다.놀란 군수 조병갑은 줄행랑을 놓았다.그때나 지금이나 가장 큰 문제는 양극화이다.토지가 소수에 불과한 대지주의 손아귀에 집중되자, 극빈자가 양산되었다. 오늘날 우리 사회는 과잉산업화로..

인권누리 웹진 제160호 인권누리에서 불어오는 인권바람이야기

학생에게 폭언한 이사장에 대한 인권교육 수강 권고, 해당 학교 이사장 불수용□ 국가인권위원회(위원장 송두환, 이하 ‘인권위’)는 2023년 11월 10일 ○○고등학교 이사장(이하 ‘피진정인’)에게, 학생을 대상으로 한 폭언 행사 등 유사 사건 재발방지와 학생 인권에 대한 올바른 이해 증진 등을 위하여 인권위 대구인권사무소가 주관하는 인권교육을 수강할 것을 권고한 바 있다.□ 인권위는 진정사건에 대한 조사 과정에서, ○○고등학교의 학교 규칙에 ”학생의 머리 길이는 제한이 없으나 항상 단정한 머리 형태를 유지해야 한다“라는 규정이 있음에도, 피진정인이 학생의 머리 길이 등을 이유로학생과 교사를 이사장실로 불러 각종 폭언을 행사한 점을 확인하였다.조사 과정에서 확인된 바에 따르면, 피진정인은 머리를 기른 학생..

인권누리 웹진 제160호 전북의 인권 역사 문화 유적지

전북의 인권역사문화유적지(162)이번호의 인권역사문화유적지는 장수 합미산성 입니다. 위치는 전북특별자치도 진안군 마령면 강정리 산 24번지 산성에 있습니다.2017년 6월 29일 진안군의 향토문화유산(기념물) 제6호로 지정되었습니다.합미산성은 마이산이 가깝게 잘 보이는 곳으로 진안 마령면 강정리의 합미산성과 광대봉을 사람들이 많이 꼽고 있습니다.합미산성은 마이산의 서쪽으로 뻗은 산줄기 능선을 따라 축성된 삼국시대의 포곡식 석성입니다. 학계는 삼국시대 진안 남부지역에 위치했던 백제의 마돌현(馬突縣)의 치소성일 가능성이 큰 것으로 보고 있습니다.언론 기사에 따르면 전북도와 진안군은 구체적 발굴조사에 따르면 합미산성의 규모는 성의 둘레가 608m이며,대부분의 성벽이 붕괴돼 있으나 동남쪽 능선을 따라 길이 70..