전체 글 676

인권누리 웹진 제146호 회원의 붓

이승만과 미군의 합작품, 제주 4.3 학살…이래도 이승만기념관? 제주 4.3 학살과 미군정, 그리고 이승만 정권 양조훈 전 제주 4.3평화재단 이사장 1945년 8월 15일, 해방을 맞았다. 하지만 그날이 38도선을 경계로 분단이 시작된 날이라고 인식하는 사람은 적은 것 같다. 미국과 소련 두 강대국은 우리 민족의 의사와 상관없이 38선을 그었다. 그리고 80년 동안 우리 민족에게 엄청난 고통을 안겨줬다. 제주사람들은 38선을 걷어내고 조국의 하나된 완전 자주독립을 쟁취하자고 외쳤다가 혹독한 희생을 치렀다. 그게 바로 '4.3 봉기'이다. 필자가 4?3의 원 뿌리가 38선에 있다고 주장하는 이유도 여기에 있다. 1947년 3.1 경찰 발포가 4.3의 도화선 1947년 3월 1일, "3.1정신으로 통일독립..

인권누리 웹진 제146호 인권누리에서 불어오는 인권바람이야기

통학에 왕복 3시간이 걸리는 원거리 학교로의 전학 명령은 인권침해 □ 국가인권위원회(위원장 송두환, 이하 ‘인권위’)는 2022년 6월 7일 ○○광역시○○○교육지원청교육장(이하 ‘피진정인’)에게, 피해자의 학교를 재배정하고, 피해학생 보호 및 가해학생 선도·교육이라는 목적에 부합하도록 관련 업무처리 지침을 명확하게 개정할 것을 권고하였다. □ 진정인은 피진정인이 중학생인 자녀(이하 ‘피해자’)가 학교폭력 가해학생이라는 이유로, 거주지에서 약 25㎞ 떨어져 등하교에 왕복 약 3시간이 걸리는 학교에 배정함으로써 피해자의 인권을 침해하였다며 인권위에 진정을 제기하였다. □ 피진정인은 피해자를 원거리 학교에 배정한 것은 ○○광역시○○○교육지원청 2021 중학교 전입학 (재)취학 및 편입학 업무처리 지침(이하 ‘..

인권누리 웹진 제146호 전북의 인권 역사 문화 유적지

전북의 인권역사문화유적지(148) 이번호의 인권역사문화유적지는 남원 서도역사(폐역)입니다. 위치는 전북 남원시 사매면 서도길 23-17번지에 있습니다. 최명희의 소설 혼불의 배경이었던 곳이 이 舊 서도역입니다. 또한 미스터 션샤인의 촬영장소로도 유명합니다. 전라선 이설로 인해 선로가 100m 가량 이전되고, 새 서도역이 생기자 이곳은 철거 위기에 처했다고 합니다. 그러나 인근 주민들 사이에서 보존해야 된다는 여론이 일었고, 결국 남원시가 대한민국 철도청으로부터 역사와 부지를 매입하면서 舊 서도역이 살아남았습니다. 구 서도역은 우리나라에서 가장 오래된 목조건물 폐역으로 1932년 조성된 전라선 역사와 시설물로 옛 모습 그대로 보존, 관리되고 있습니다. 서도역은 1934년 전라선 역원 배치 간이역으로 영업을..