전체 글 670

인권누리 웹진 제40호 인권 역사 문화 유적지(42)

전북의 인권 역사 문화 유적지(42) 이번호의 역사 유적지는 동학농민혁명 삼례봉기 역사광장 입니다. 완주군 삼례읍 신금리 417 - 3번지에 위치하고 있습니다. 동학농민혁명은 농민들과 동학도들이 잘못된 사회를 바로잡으려고 일으킨 구국의 저항운동 입니다. 완주군은 특히 삼례봉기를 비롯하여 대둔산 최후 항쟁기까지 동학농민혁명군의 숭고한 정신과 넋이 살아 숨 쉬는 역사의 고장입니다. 1895년 2월 대둔산에서 고산지역농민군이 최후까지 항쟁하였고, 대둔산 최후의 항쟁터는 전국적으로 유일하게 보존된 동학농민군 전쟁 유적지 입니다. 동학농민혁명 삼례봉기는 전북 고부에서 시작된 농민혁명이 전주성 입성 후 해산하였습니다. 그후 청 일 전쟁에서 승리한 일본이 조선을 침탈하자 국권 수호를 위해 농민들이 삼례에서 봉기하였습..

[수냐와 함께 하는 행복연습] <36> 몸아 미안해(Body, I’m sorry)

우리가 살다보면 몸이 아프고 병이 들기도 합니다. 몸 치유를 위한 기본적인 태도는 자신의 몸을 진심으로 사랑하는 것입니다. 자신의 몸을 귀하게 여기고 사랑해야 몸에 해로운 행위를 하지 않고, 정성스럽게 건강관리를 할 수 있기 때문입니다. 이번 주에는 몸이 아플 때 하는 자기사랑 연습으로 연습을 해보겠습니다. 명상은 몸의 고통에 공감을 하면서 몸에게 진심으로 미안하다고 사과를 하는 것입니다. 몸에 대한 사과는 몸치유의 출발입니다. 누군가가 나의 발을 밟아서 아픔을 느끼고 있을 때 상대방이 ‘미안해요’라고 하면 상처받은 감정이 치유됩니다. 마찬가지로 하면서 자신의 아픔을 안아주면 기분이 좋아지고 건강회복이 빨라집니다. 구체적인 방법은 자신의 몸에 미안한 점을 떠올리면서 ‘몸아! 너에게 해로운 담배를 피워서 ..

인권누리 웹진 제39호 전북의 인권 역사 문화 유적지(41)

전북의 인권 역사 문화 유적지(41) 이번 호의 인권 역사 문화 유적지는 웅치전적지와 관련한 내용입니다. 웅치전적지는 완주군 소양면 신천리 산 18-1번지에 위치하고 있습니다. 웅치전적지는 임진왜란 당시의 전적지로 1976년 4월 2일 전라북도 기념물 제22호로 지정되어 있습니다. 웅치전적지는 선조 25년 1592년 임진왜란 때 조선의 관군과 의병이 전라도로 진출하려던 왜군을 맞서 싸웠던 격전지 입니다. 1592년 4월 임진왜란이 일어나 40여 일 만에 한양, 평양, 개성이 함락되고, 왜군은 곡창지대인 호남지방을 공격하려고 하였습니다. 이때 바다에서는 이순신 장군이 방어를 하고 있었기 때문에 왜군은 육로를 통하여 침공할 계획을 세웠습니다. 왜군은 창녕에 있다가 남원으로 들어간 다음 전주를 공격하려고 하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