전체 글 667

웹진 제23호 전북의 인권 역사 문화 유적지(25)

이번호의 역사 문화 유적지는 전북 완주군에 있는 송광사로 위치는 전북 완주군 소양면 송광수만로 255-16번지에 있습니다. 송광사는 완주군 소양면 종남산 아래에 있는 남북국 시대 통일신라의 승려 체징이 창건한 사찰입니다. 대한불교조계종 제17교구 본사인 금산사의 말사입니다. 송광사 대웅전 안에는 전라북도 유형문화재 제41호로 지정된 석가여래좌상이 봉안되어 있으며, 벽과 천장에는 선이 매우 활달하여 생동감을 가지게 하는 19세기 작품 비천(飛天)이 그려져 있습니다. 또, 십자각은 보물 제1244호로 지정되어 있는데, 십자각이라는 이름은 건물의 평면구성이 十자 모양으로 되어 있기 때문에 붙여진 것입니다. 12개의 기둥을 사용하여 2층 누각형태를 갖춘 건물로서 고건축물 중에서 찾아보기 드문 예입니다. 이 십자..

이주여성 노동차별에 대한 논평

이주여성 노동차별에 대한 논평 여성가족부 산하 다문화가족지원센터는 전국적으로 운영되는 이주여성지원단체로, 내국인 직원과 이주민 직원들이 함께 일하고 있는 곳이다. 다문화가족지원센터에는 통, 번역사와 이중언어코치 직무를 수행하는 외국인과 센터의 운영을 담당하는 행정직 내국인들이 함께 일을 한다. 2020년 권인숙 의원실의 국정감사 자료에 따르면 다문화가족지원센터 행정직원의 평균임금은 34,284,000원, 이중언어코치는 26,325,000원, 통번역지원사는 25,612,000원으로 임금의 차이를 명확하게 보여준다. 전라북도가 지원하는 14개 시군 다문화센터와 다누리콜 상담센터, 이주여성쉼터 등의 이주여성들 역시 경력이 10년이 넘어도 최저임금에 해당하는 임금을 받고 있는 실정이다. 다문화가족지원센터의 특성..

보도자료 2021.09.30

웹진 제 24호 오동선 교사의 인권이야기

학교청소 교장실, 교무실, 행정실 등 교직원이 사용하는 공간의 청소를 왜 학생이 해야 하나요? 외국에선 교실청소도 용역으로 맡기기도 한다. 그럴 수도 있겠다 싶지만, 이건 돈의 문제를 넘어 자기 공간을 자기가 청결히 하고 정리정돈의 생활습관 형성을 위해 교실등 학생들이 사용하는 공간은 학생이 청소하는 것에 대해서는 동의한다. 다만 요즘은 화장실 등 좀 더 청결을 요구하는 공간은 용역을 주어서 관리하고 있기도 하다. 그런데 교장실 행정실 교무실은 교직원만 사용하는 공간인데 청소는 학생이 하고 있다. 왜일까? 학생에게 부당한 노동을 강요하는 것은 아닐까? 이미 전북교육청과 전교조전북지부는 단체협약을 통해 학기마다 업체를 통해 전달되는 교과서를 교실로 나를 때 계약을 통해 교실 앞까지 가져다 주거나, 학생을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