분류 전체보기 670

[수냐와 함께 하는 행복연습] <38> 삶을 빛나게 하는 친절한 행동

아침에 일어나서 하루를 기분 좋게 지내고 싶다면 다른 사람을 위한 친절한 행동을 생각해보면 좋습니다. 친절한 행동이란 다른 사람의 기쁨을 위한 말이나 행동을 하는 것입니다. 친절에 대한 생각으로 마음을 채우면, 하루 생활이 참으로 즐겁고 아름다워집니다. 친절은 사람을 행복하게 해주며, 욕망을 줄여주고 분노를 자비로 바꾸어 줍니다. 친절한 행동은 미소, 좋은 말, 안부전화, 뜻밖의 선물 등 다양하게 많습니다. 저는 가끔 친구와 지인들에게 안부전화를 해서 대화를 나눕니다. 전화를 받은 사람들이 행복을 느끼며 저에게 전화해줘서 고맙다고 말합니다. 이렇게 친절한 행동은 작은 관심, 작은 노력으로도 실천이 가능합니다. 미국 심리학자 엘리자베스 던(Elizabeth Dunn)이 친절에 관한 실험을 했습니다. 사람들..

인권누리 웹진 제42호 전북의 인권 역사 문화 유적지(44)

전북의 인권 역사 문화 유적지(44) 이번호의 인권역사문화유적지는 고산 향교입니다. 위치는 완주군 고산면 고산로 147-23번지에 있습니다. 고산 향교는 1397년(태조 7) 현유(賢儒)의 위패를 봉안, 배향하고 지방의 중등교육과 지방민의 교화를 위하여 창건되었습니다. 1399년(정종 1)에 원인 모를 화재로 인해 소실되었다가 그 뒤 복원하였으며, 임진왜란 때 다시 소실되어 1601년(선조 34) 대성전을, 1604년 명륜당을 건립하였습니다. 1966년 대성전과 명륜당을 보수하였으며, 현존하는 건물로는 대성전·명륜당·동재·서재·삼문(三門)·교직사(校直舍)·기타 부속건물 등이 있습니다. 경사지에 외삼문-명륜당-내삼문-대성전을 하나의 축선상에 배치하여 뚜렷한 수직적 위계를 보여주고 있으며, 고산향교의 대성전..

인권누리 웹진 제41호 전북의 인권 역사 문화 유적지(43)

이번호의 역사 유적지는 돼재성당 입니다. 위치는 완주군 화산면 승치로 477번지 입니다. 돼재성당은 1886년 한불조약으로 고산지역의 성당이 세워졌는데 1895년에 완공되었습니다. 돼재성당 조성기에 그 근처에는 1891년 신유박해 이후부터 박해를 찾아 전국 각처에 몰려든 신자들이 많았습니다. 병인박해 때에는 이 지역의 교우촌이 무려 56곳이나 될 정도로 신자들이 많았습니다. 1893년 비에모 신부가 단층 5칸짜리 한옥으로 전국에서 두번째로 성당을 세웠고 이곳이 바로 돼재성당입니다. 돼재성당은 한강 이남의 첫 성당이자 우리나라 최초의 한옥 성당입니다. 그러나 성당은 한국전쟁때 국군에 의해 소실 되었고 전쟁 후 1953년 임시로 공소 건물을 지었습니다. 돼재성당은 천주교 신앙의 자유의 본산지임을 알 수 있습..

[수냐와 함께 하는 행복연습] <37> 속마음 119 친구 만들기

낙엽이 떨어지는 가을입니다. 단풍의 아름다움과 인생의 무상함, 외로움과 쓸쓸함이 느껴지기도 합니다. 이럴 때는 차를 마시며 가슴 속 깊이 묻어둔 이야기를 하고 싶습니다. 어떤 비밀이라도 나눌 수 있는 친구! 여러분은 그런 친구가 있으신가요? [수냐와 함께 하는 행복연습] 은 속마음 119 친구 만들기 입니다. 속마음 119 친구란 마음에 빨간불(거센 분노, 비참한 감정들)이 들어와 긴급 경보가 울릴 때 마음을 나눌 수 있는 사람을 말합니다. 위기 상황에 119에 전화를 해서 도움을 요청하듯이, 마음의 위기 상황에 언제든지 도움을 주고받을 수 있는 친구입니다. 우리는 때때로 마음에 빨간불로 긴급경보가 울리는 위기 상황을 만날 수 있습니다. 감정의 위기 상황은 인격 무시, 언어폭력, 사별, 이별, 갑작스런 ..

인권누리 웹진 제41호 인권누리에서 불어오는 인권바람이야기

인권누리에서 불어오는 인권바람이야기 전북공무원 인권정책과 인권의식에 관한 설문조사 결과(4) 5. 비정규직이라는 이유로 받는 차별 비정규직이라는 이유로 부당한 대우를 받은 것이 매우 심각하다고 응답한 사람은 도청 2명, 군산 2명, 김제, 고창이 각 1명입니다. 총 합은 6명으로 1.15%입니다. 약간 심각하다고 응답한 사람은 도청 7명, 군산 6명, 고창, 정읍 각 5명, 김제 4명, 전주, 부안 각 2명, 무주, 익산, 임실, 진안, 남원 각 1명입니다. 총 합은 36명으로 6.91%입니다. 매우심각하다와 약간 심각하다는 응답자를 합산하면 521명 중 42명이며 8.06%입니다. 보통은 33.40%, 양호는 26.68%, 매우양호는 30.52%입니다. 이를 합산하면 57.20%입니다. 따라서 비정규직..

인권누리 웹진 제40호 인권누리에서 불어오는 인권바람이야기

전북공무원 인권정책과 인권의식에 관한 설문조사 결과(3) 3. 직급 혹은 직렬을 이유로 받는 차별 직급 혹은 직렬을 이유로 부당한 대우를 받은 것에 대해 매우 심각하다고 응답한 사람은 도청 6명, 김제 5명, 군산 4명, 고창 4명, 부안, 진안, 익산, 정읍 등 각 1명입니다. 총 합은 23명으로 4.41%입니다. 약간 심각하다고 응답한 사람이 도청 18명, 김제, 16명, 군산 13명, 고창 7명, 익산 7명, 남원 6명, 정읍 5명, 부안 4명, 임실 3명, 전주 2명, 장수 2명, 진안 1명입니다. 총 합은 87명으로 16.70%입니다. 이를 합산하면 521명 중 110명이 응답하였습니다. 이는 21.11%, 보통은 36.08%, 양호는 22.84%, 매우양호는 19.77%입니다. 이를 합산하면 ..

인권누리 웹진 제40호 인권 역사 문화 유적지(42)

전북의 인권 역사 문화 유적지(42) 이번호의 역사 유적지는 동학농민혁명 삼례봉기 역사광장 입니다. 완주군 삼례읍 신금리 417 - 3번지에 위치하고 있습니다. 동학농민혁명은 농민들과 동학도들이 잘못된 사회를 바로잡으려고 일으킨 구국의 저항운동 입니다. 완주군은 특히 삼례봉기를 비롯하여 대둔산 최후 항쟁기까지 동학농민혁명군의 숭고한 정신과 넋이 살아 숨 쉬는 역사의 고장입니다. 1895년 2월 대둔산에서 고산지역농민군이 최후까지 항쟁하였고, 대둔산 최후의 항쟁터는 전국적으로 유일하게 보존된 동학농민군 전쟁 유적지 입니다. 동학농민혁명 삼례봉기는 전북 고부에서 시작된 농민혁명이 전주성 입성 후 해산하였습니다. 그후 청 일 전쟁에서 승리한 일본이 조선을 침탈하자 국권 수호를 위해 농민들이 삼례에서 봉기하였습..

[수냐와 함께 하는 행복연습] <36> 몸아 미안해(Body, I’m sorry)

우리가 살다보면 몸이 아프고 병이 들기도 합니다. 몸 치유를 위한 기본적인 태도는 자신의 몸을 진심으로 사랑하는 것입니다. 자신의 몸을 귀하게 여기고 사랑해야 몸에 해로운 행위를 하지 않고, 정성스럽게 건강관리를 할 수 있기 때문입니다. 이번 주에는 몸이 아플 때 하는 자기사랑 연습으로 연습을 해보겠습니다. 명상은 몸의 고통에 공감을 하면서 몸에게 진심으로 미안하다고 사과를 하는 것입니다. 몸에 대한 사과는 몸치유의 출발입니다. 누군가가 나의 발을 밟아서 아픔을 느끼고 있을 때 상대방이 ‘미안해요’라고 하면 상처받은 감정이 치유됩니다. 마찬가지로 하면서 자신의 아픔을 안아주면 기분이 좋아지고 건강회복이 빨라집니다. 구체적인 방법은 자신의 몸에 미안한 점을 떠올리면서 ‘몸아! 너에게 해로운 담배를 피워서 ..

인권누리 웹진 제39호 전북의 인권 역사 문화 유적지(41)

전북의 인권 역사 문화 유적지(41) 이번 호의 인권 역사 문화 유적지는 웅치전적지와 관련한 내용입니다. 웅치전적지는 완주군 소양면 신천리 산 18-1번지에 위치하고 있습니다. 웅치전적지는 임진왜란 당시의 전적지로 1976년 4월 2일 전라북도 기념물 제22호로 지정되어 있습니다. 웅치전적지는 선조 25년 1592년 임진왜란 때 조선의 관군과 의병이 전라도로 진출하려던 왜군을 맞서 싸웠던 격전지 입니다. 1592년 4월 임진왜란이 일어나 40여 일 만에 한양, 평양, 개성이 함락되고, 왜군은 곡창지대인 호남지방을 공격하려고 하였습니다. 이때 바다에서는 이순신 장군이 방어를 하고 있었기 때문에 왜군은 육로를 통하여 침공할 계획을 세웠습니다. 왜군은 창녕에 있다가 남원으로 들어간 다음 전주를 공격하려고 하였..

[수냐와 함께 하는 행복연습] <35> 행복한 소통 - 나 전달법

의사소통이란 ‘가지고 있는 생각이나 뜻이 서로 통함’이라는 의미를 지니고 있습니다. 의사소통이 잘 되면 행복하고 사랑이 솟아납니다. 의사소통이 잘 안 되면 고통스럽고 관계갈등이 생깁니다. 소통을 잘 하는 능력은 행복한 인간관계를 위한 삶의 기술이므로 평생토록 갈고 닦아야 할 자기수련의 덕목이라 할 것입니다. 소통을 잘 하려면 자신의 생각이나 뜻과 감정이 상대방에게 잘 전달 되도록 말을 해야 합니다. 그런데 기분이 나쁠 때는 상대방을 공격하거나 비난하여 본래 전달하고자 하는 내용이 전달되지 않는 경우가 발생하기 쉽습니다. 분노를 유발하지 않고 나의 마음을 전하는 방법으로 전달법이 있습니다. 상대가 나를 이해하지 못하는 것은 상대 탓도 있겠지만 자신의 마음을 잘 전달하지 못해서 발생할 수 있습니다. 상대가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