분류 전체보기 667

인권누리 웹진 제61호 인권누리에서 불어오는 인권바람이야기

인권누리에서 불어오는 인권바람이야기 전북공무원 인권정책과 인권의식에 관한 설문조사 결과(23) 3. 공무원의 인권제도 인식 및 의식 부족 전라북도 공무원 인권 실태 조사 설문 내용에서 나타난 문제점은 다음과 같다. 인권제도의 문제점과 인권인식에 관한 문제점으로 크게 두 가지 형태로 나눌 수 있습니다. 1) 공무원의 인권제도 인식 부족 첫째, 인권행정 및 인권제도에 관한 인식을 살펴보면 전라북도 인권제도 중에서 인권기본계획 54.1%, 인권조례는 50.5%, 인권담당관 제도 46.7%, 인권위원회 존재 43% 순으로 모르는 것으로 나타났습니다. 각 질문에 대해 전혀모른다와 별로 모른다고 응답한 비율을 합산한 결과입니다. 인권행정을 추진하는 공무원 스스로가 전라북도의 인권제도를 43% 이상 모른다는 것이 가..

인권누리 웹진 제60호 회원의 붓

정관성 회원이 보내온글 민주주의? 아직도 잘 모르겠습니다. 민주주의(democracy)는 그리스어로 민중(d-emos)과 지배(cratos)라는 말이 만나 ‘민중의 지배(d-emocratia)’란 뜻으로 사용된 것이라고 합니다. 민중이 지배하는 정치형태를 민주주의라고 하는데, 왜 민중민주주의, 엘리트민주주의, 자유민주주의, 시민민주주의, 사회민주주의 등 민주주의 앞에 붙는 말들이 많을까요? 각각의 뜻이나 지향하는 게 뭔지 잘 모르겠고, 그 차이를 정확히 구분하여 쓰는 사람도 많지 않을 거라고 봅니다. 민주주의 하나만으로도 굉장히 많은 뜻을 포함하고 있는데, 앞에 사족처럼 붙이는 것은 본래의 뜻을 훼손하는 건지도 모르겠고요. 제게 처음 다가온 민주주의는 뭐였을까요? 1979년 10월 26일 박정희 전 대통..

인권누리 웹진 제60호 전북의 인권 역사 문화 유적지

전북의 인권 역사 문화 유적지(62) 이번호의 인권역사문화유적지는 전주 관성묘(關聖廟)입니다. 위치는 전북 전주시 완산구 남고산성1길 159-9 번지에 있습니다. 삼국지에 나오는 관우는 신의의 상징으로 중국에서는 왕으로 추증되어 신성시하고 있습니다. 중국에서는 명나라 초부터 관성 혹은 관왕묘를 건립하여 일반 서민에까지도 그 신앙이 전파되었습니다. 우리나라에서는 임진·정유의 왜란 때에 명나라 군사들에 의해 관왕묘가 건립되었습니다. 1598년(선조 31) 처음으로 서울 숭례문 밖에 남관왕묘가 건립되었습니다. 『증보문헌비고』 권61 예고(禮考)에 따르면, 임진·정유의 난에 전투가 있을 때 자주 관왕의 영혼이 나타나 신병(神兵)이 명나라 군사를 도왔다고 했는데, 이것을 보면 명나라의 장수들이 관왕묘를 건립하는 ..

인권누리 웹진 제60호 인권누리에서 불어오는 인권바람이야기

인권누리에서 불어오는 인권바람이야기 전북공무원 인권정책과 인권의식에 관한 설문조사 결과(23) 1. 인권조례의 인권보호 미흡 전라북도의 인권조례는 총 5장 33조로 구성되어 있습니다. 전북 인권조례는 2010년 7월에 제정되어 이후 인권행정 조직의 시행과 더불어 문제점들이 있어 전면적인 개정이 필요합니다. 첫째, 인권지수에 관한 내용이 부실합니다. 전북은 인권지수 개발에 관한 규정만 있습니다. 인권지수 개발책임은 인권담당관실에서 담당하고 있습니다. 그러나 인권지수의 관리책임은 각 지표항목의 지수 관리자인 해당부서가 담당해야 합니다. 따라서 인권지수를 조정하고 관리하기 위해 인권정책회의에 대한 규정이 없습니다. 또한 이를 강제 규정하는 조항이 없는 것도 문제점이라 할 수 있습니다. 둘째, 인권교육에 대해 ..

인권누리 웹진 제59호 인권누리에서 불어오는 인권바람이야기

인권누리에서 불어오는 인권바람이야기 전북공무원 인권정책과 인권의식에 관한 설문조사 결과(22) 이번호는 전북 공무원의 일하면서 힘든 원인 설문 결과입니다 (9) 권위적인 조직문화 권위적인 조직문화에 대하여 매우 힘들다고 응답한 사람이 47명으로 9.02%이고, 힘들다고 응답한 사람은 139명으로 26.68%입니다. 보통이라고 응답한 사람은 254명으로 48.75%, 좋다라고 응답한 사람이 59명으로 11.32%이며, 매우 좋다라고 응답한 사람이 19명으로 3.65%입니다. 권위적인 조직문화에 대하여 매우 힘들다 9.02%와 힘들다 26.68%를 합하면 35.70%입니다. 보통은 48.75%, 좋다 11.32%와 매우 좋다 3.65%를 합하면 14.97%입니다. 권위적인 조직문화에 대하여 성별로 살펴보면,..

인권누리 웹진 제59호 회원의 붓

완주 호산서원 '스승의 날' 명소 추천 “스승의 은혜는 하늘 같아서 우러러볼수록 높아만 지네. 참되거라 바르거라 가르쳐 주신 스승은 마음의 어버이시다. 아아, 고마워라 스승의 사랑. 아아, 보답하리 스승의 은혜”. 스승의 은혜에 감사하는 마음으로 부르는 노래 ‘스승의 은혜’ 입니다. 스승의 날 의미 5월 15일은 스승의 날입니다. 스승의 날은 교권 존중과 스승 공경의 사회적 풍토를 조성하여 교원의 사기 진작과 사회적 지위 향상을 위하여 지정된 날입니다. 우리나라의 '스승의 날' 유래는 1958년 충남 강경여자중고등학교의 청소년적십자에서 시작 되었으며, 1963년 5월 26일을 '은사의 날'로 정하였었는데요, 1965년 세종대왕 탄신일인 5월 15일을 '스승의 날'로 다시 정하고 기념하게 되었습니다. '스..

인권누리 웹진 제59호 전북의 인권 역사 문화 유적지

전북의 인권 역사 문화 유적지(61) 이번호의 인권역사문화유적지는 정읍 피향정입니다. 위치는 전북 정읍시 태인면 태산로 2951 번지에 있습니다. 호남제일문은 전주 풍남문입니다. 그러면 호남 제일의 정자가 어디에 있는지 아십니까? 호남제일정(湖南第一亭)은 바로 정읍 피향정(井邑 披香亭)입니다. 피향정이란 향국(香國)을 둘로 나누었다는 의미로, 동서 양쪽에 파놓은 누정의 상하에는 상연지제(上蓮池堤)와 하연지제(下蓮池堤)의 두 연지(蓮池)가 있어 여름에는 연꽃이 만발하여 향기가 누정의 주위에 가득 차므로, 이를 뜻하여 피향정이라 부르게 되었다고 합니다. 피향정은 원래 신라 헌강왕대(857~860 재위)에 고운 최치원(崔致遠) 선생이 태인(泰仁)의 현감으로 있을 때 세운 것이라는 이야기가 있지만 지은 시기는 ..

인권누리 웹진 제58호 회원의 붓

수냐 명상 삶의 목적 : 무엇을 원하는가요? 자신을 돌보기 위한 행복루틴을 지키는 것이 그리 쉬운 일은 아닐 것입니다. ​우리는 늘 여러가지 일들이 눈 앞에 있기 때문입니다. ​대개의 경우 어쩔 수 없어서 일이 많다고 하지만 자세히 들여다보면 스스로 일을 만드는 경우도 많을 것입니다. ​일에 끌려가는 삶이 되지 않고 내면의 평화와 일이 조화를 이루기 위해서는 ​일에 대한 조율, 시간조율이 필요합니다. ​그리고 무엇보다 중요한 것은 인생의 방향, 삶의 목적에 대한 가치관 정립일 것입니다. ​무엇을 원하는가? 에 따라 그 방향으로 달려갈 것이기 때문입니다. ​내 마음을 평화롭게 하는 일, 세상사람들이 평화롭도록 도울일 저는 이 두가지를 중요하게 여기기 때문에 ​저의 몸, 마음 돌보는 일을 우선순위로 하려고 ..

인권누리 웹진 제58호 인권누리에서 불어오는 인권바람이야기

인권누리에서 불어오는 인권바람이야기 인권누리에서 불어오는 인권바람이야기 전북공무원 인권정책과 인권의식에 관한 설문조사 결과(21) 이번호는 전북 공무원의 일하면서 힘든 원인 설문 결과입니다 (6) 업무 강도 힘든 업무 강도에 대하여 매우 힘들다고 응답한 사람이 36명으로 6.91%이고, 힘들다고 응답한 사람이 135명으로 25.91%입니다. 보통이라고 응답한 사람이 283명으로 54.32%, 좋다라고 응답한 사람은 48명으로 9.21%이며 매우 좋다라고 응답한 사람이 15명으로 2.88%입니다. 힘든 업무 강도에 대하여 매우 힘들다 6.91%와 힘들다 25.91%를 합산하면 32.82%입니다. 보통은 54.32%, 좋다 9.21%와 매우 좋다 2.88%와 합산하면 12.09%입니다. 업무 강도에 대하여 ..